반응형

소비자행동 6

마케터가 직접 배우고 정리한 광고와 사회 시리즈 (⑨ 글로벌 광고 전략: 문화 차원과 원산지 효과)

🌍 프롤로그글로벌 시대, 광고는 한 나라에서만 통하는 것이 아닙니다.각국의 문화 코드, 가치관, 소비자 인식이 달라지면서 글로벌 광고는 ‘문화 맥락에 맞춘 전략’이 핵심이 되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Hofstede 문화 차원 이론 + 원산지 효과(COO Effect)를 활용한 사례와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1. 문화 차원의 이해 – Hofstede 이론Hofstede의 문화 차원 이론은 마케팅에서 여전히 핵심 프레임워크입니다.다음은 대표적인 주요 4가지 요소입니다.차원설명전략 포인트개인주의 vs 집단주의개인의 의견 vs 집단의 일체감집단주의 국가에선 가족·팀·사회 메시지권력 거리(PDI)계층을 받아들이는 정도고권력 문화에선 권위 있는 전달 방식불확실성 회피(UAI)변화 수용 vs 안정 추구UAI 높으면 안..

마케터가 직접 배우고 정리한 광고와 사회 시리즈 (⑧ 광고, 감정, 행동의 변화: 사회적 규범과 공동체 형성)

프롤로그광고의 힘은 사람의 감정을 끌어내는 데서 끝나지 않고,그 감정을 기반으로 행동을 변화시키고, 공동체를 만드는 데까지 미칩니다.사회적 규범을 새롭게 정의하고, 집단 정체성을 함께 형성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죠.이번 글에서는 사회적 규범을 바꾸는 광고 구조와 사례 분석,그리고 감정 → 행동 → 공동체 형성 과정을 실무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1. 광고와 사회 규범: 어떻게 작동하는가?광고는 사람들의 가치관 방향을 ‘지침’처럼 안내할 수 있어요.특히 **사회적 규범(Social Norms)**의 경우,"우리는 이렇게 행동해야 한다"는 인식이 퍼지게 만드는 구조가 중요합니다.좋은 광고는 감정적 울림 이후 구체적 행동 유도와 공동체적 결속을 함께 담습니다.2. 사례 분석🎬 Embrace Life – 안전벨..

마케터가 직접 배우고 정리한 광고와 사회 시리즈 (⑦ 광고와 비영리단체: 영향력과 전략)

🎬 프롤로그비영리단체(NGO, 공익기관)는 자체 메시지와 사회 이슈를 광고로 효과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중요한 주체입니다.“이익 추구가 목적이 아님에도, 강력한 메시지를 담은 광고가 사회에 큰 울림을 줄 수 있을까?”이 글에서 그 광고 전략과 구조, 그리고 비영리와 브랜드 협업 사례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1. 비영리 단체 광고의 핵심 특징목적 중심(Purpose-driven): 수익보다는 사회 문제 해결이 핵심자원 제약: 예산 한계 속에서 최대 임팩트 발휘신뢰 기반 메시지: 진정성과 윤리가 광고의 핵심이론적 활용: 신호이론(Signal Theory), 주의경제, 사회적 영향 등2. 감정 중심 메시지 구조와 효과비영리 광고는 감정을 흔드는 ‘스토리텔링’ 중심이어야 합니다.✅ 사례 1: Save the..

마케터가 직접 배우고 정리한 광고와 사회 시리즈 (⑥ 브랜드 액티비즘: 사회적 메시지를 내는 브랜드의 조건)

프롤로그오늘날 브랜드는 ‘사회적 메시지를 가진 광고’를 넘어, 세상에 영향력을 미치는 행위자가 되어가고 있습니다.한편으론 사회 문제에 적극적인 태도로 응답하고, 다른 한편으론 기회이자 위험 전략으로 브랜드 액티비즘(Brand Activism) 을 선택합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어떤 조건들이 충족될 때 브랜드 액티비즘이 효과를 내는지,정말 잘한 브랜드와 그렇지 못한 브랜드를 사례 중심으로 비교해보겠습니다.1. 브랜드 액티비즘 정의 & 구분브랜드 목적(Purpose): 브랜드 내부 가치로 “우리가 왜 존재하는가”브랜드 액티비즘은 이를 사회적 행동으로 구체화하는 방식입니다.예: “여성을 존중한다” → 여성 권리 운동 후원, 직원 다양성 프로그램, 광고 메시지까지 연결되는 브랜드 전략2. 성공 사례: Dove의 ..

마케터가 직접 배우고 정리한 광고와 사회 시리즈 (⑤ 광고와 목적기반 마케팅(Purpose Advertising)의 시대)

프롤로그오늘날 광고는 단순 제품 홍보를 넘어 브랜드 철학과 사회적 이슈를 함께 말하는 시대입니다.이른바 Purpose Advertising은 소비자에게 "누구를 위한 소비인가"를 묻고,브랜드는 "우리가 무슨 가치를 위해 존재하는가"를 선언하는 전략입니다.하지만 방식이 잘못되면 퍼포먼스 캠페인으로 오용되거나,'목적 없는 마케팅'으로 소비자에게 허위∙피로∙역풍을 불러일으키기도 합니다.1. Purpose Advertising 이란?Purpose Advertising은 단순히 광고 메시지를 넘어,**브랜드의 존재 목적(Brand Purpose)**을 사회적 맥락에서 구현하고 공유하는 전략입니다.CSR과 Purpose의 차이CSR: 기업의 사회적 책임 → 지원, 기부, 봉사 등 일부 실행 중심Purpose: 브랜..

마케터가 직접 배우고 정리한 광고와 사회 시리즈 (④ 브랜드 액티비즘 : 사회적 메시지를 내는 브랜드의 조건)

프롤로그최근 소비자들은 단순히 제품만 소비하지 않고, 브랜드가 어떤 가치와 태도를 지향하는지를 유심히 살펴봅니다.이러한 흐름 속에서 등장한 전략이 바로 **브랜드 액티비즘(Brand Activism)**입니다.단순한 캠페인을 넘어 브랜드의 존재 이유 자체가 사회적 메시지인 시대가 도래했죠.1. 브랜드 액티비즘이란?Brand Purpose vs Brand Activism목적(Purpose)은 내부 가치 기반,액티비즘은 외부적 행동으로 구체화된 메시지와 실천을 의미합니다.핵심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조건설명진정성브랜드의 역사, 문화, 철학과 일관된 메시지이어야 함행동 기반단순 ‘말’이 아니라, 정책·기부·제휴 등 실질적 실천 포함위험 감수사회적 이슈 이면엔 분열 가능성도 있으므로 용기 있는 태도 필요 2. ..

반응형